청년 생애 최초 전기차 보조금 신청 방법 및 조건 지원 금액 필요 서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청년이라면 기존 전기차 보조금에 20% 추가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지자체 추가 보조금과 중복 적용이 가능하며 이전에 차량을 소유한 이력이 없는 청년(만 19세~34세 이하 대한민국 국민)이라면 정부가 인증한 보조금 지원 대상의 전기차에 한하여 저렴하게 구매할 수 있습니다.
과거에 비해 전기차 판매량이 증가하고 있으며 충전소 및 충전기도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입니다. 또한 전기차는 고속도로 통행료나 주차장 등을 50% 할인받고 이용할 수 있으며 연비도 휘발유차에 비해 좋은 편이라서 경제적입니다. 아래 청년 전기차 보조금의 조건, 지원 금액, 필요 서류, 신청 방법 등을 참고하여 지원을 받아보시기 바랍니다.
청년 생애 최초 전기차 보조금이란?
청년 생애 최초 전기차 보조금은 청년기본법에 따른 만 19세 이상 34세 이하 대한민국 청년이 생애 첫 차로 전기차를 구매하면 기존 전기차 보조금에 20% 추가 지원을 받을 수 있는 지원 정책입니다. 중·대형 전기차는 최대 116만원, 경·소형 전기차는 최대 106만원의 추가 보조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또한 다자녀 가구 혜택을 볼 수 있는데 자녀 2명은 100만원, 3명은 200만원, 4명은 300만원을 추가로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청년 생애 최초 전기차 보조금 지원 대상
청년 생애 최초 전기차 보조금의 지원 대상 및 조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청년 지원 정책이라서 연령 제한이 있으며 과거에 차량을 구매한 이력이 없는 경우 신청 가능합니다. 만약 차량을 소유한 적이 있으면 보조금 지원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또한 정부가 인증한 전기차만 추가 보조금을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 만 19세 이상 34세 이하 대한민국 국민
- 이전에 차량을 소유한 이력이 없는 경우
- 정부가 인증한 보조금 지원 대상 전기차에 한하여 구매 가능
청년 생애 최초 전기차 보조금 지원 금액
청년 생애 최초 전기차 보조금의 지원 금액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전기차는 청년이 아니라도 보조금을 받을 수 있는데, 청년이라면 추가로 20%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 기존 전기차 보조금에 20% 추가 보조금 지원
- 지자체 보조금과 중복 적용 가능
- 중·대형 전기차: 최대 116만원
- 경·소형 전기차: 최대 106만원
지원 대상이 아니라면 추가 20% 보조금 지원은 받을 수 없습니다. 기존 내연차에서 전기차로 변경하는 경우 생애 첫 차 인세티브를 받을 수 없습니다. 차량을 소유한 이력이 아예 없어야 청년 보조금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청년 생애 최초 전기차 보조금 신청 방법
청년 생애 최초 전기차 보조금 신청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정부가 인증한 보조금 지원 대상의 전기차를 구매 후 보조금 신청서를 제출하여 서류 심사 및 승인을 거치면 보조금이 지급됩니다. 자세한 방법은 아래 단계를 확인하여 신청해 보시기 바랍니다.
- 정부가 인증한 보조금 지원 대상의 전기차 구매 및 계약 체결
- 무공해차 통합누리집(EV포털) 또는 구매 대리점에서 보조금 신청서 온라인 신청 및 제출
- 청년 생애 최초 전기차 보조금의 자격 검증을 위한 서류 심사 및 승인
- 생애 첫 차량 등록 후 추가 보조금 20% 지급
청년 전기차 보조금 필요 서류
청년 생애 최초 전기차 보조금의 필요 서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아래 서류를 구비하여 청년 전기차 보조금을 신청할 때 제출하시면 됩니다.
- 주민등록등본
- 무차량 증명서(기존 차량 소유 이력 및 생애 최초 전기차 여부 확인)
- 전기차 구매 계약서 및 세금계산서
- 차량 등록증
- 보조금 신청서 및 개인정보 수집·이용 동의서
정부 인증 전기차 목록
정부가 인증한 보조금 지원 대상의 전기차를 확인해보겠습니다. 무공해차 통합누리집에서 정부가 인증한 구매보조금 지급대상 차종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판매사별로 확인할 수 있으며 기아, 현대, 메르세데스 벤츠, 볼보, BYD, 테슬라, 폭스바겐, 폴스타, BMW 등의 브랜드를 선택하여 보조금을 받을 수 있는 차량 모델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