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드프레스 호스팅 설치 방법 및 패스트코멧 사용 방법에 대해 설명하는 글입니다. 블로그를 시작하기 위해 워드프레스 도메인을 구매했다면 호스팅 설치 및 서버 구축을 하셔야 합니다. 호스팅이란? 서버 컴퓨터의 공간을 사용할 수 있도록 빌려주는 서비스입니다. 보통 국내 호스팅 업체에서 많이 진행하지만, 저는 해외 호스팅 업체인 패스트코멧을 이용했습니다. 패스트코멧은 대부분 영어로 적혀있어 언어의 장벽을 느끼게 되지만, 24시간 빠른 상담이 가능하기 때문에 편리했습니다. 따라서 워드프레스를 운영하다가 서버에 문제가 생기거나 플러그인 충돌 등으로 오류가 발생했을 때 빠르게 개발자에게 상담 요청을 할 수 있습니다. 워드프레스 호스팅 설치하는 방법과 패스트코멧을 사용하는 방법에 대한 정보는 아래 내용을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워드프레스 패스트코멧 사용 방법
워드프레스를 설치하기 전에 호스팅 업체에서 서비스를 신청하셔야 합니다. 업체마다 비용이 다르며 웹용량, 트래픽 용량, 백업 서비스, 데이터베이스 용량 등이 다를 수 있습니다. 아래 게시물은 패스트코멧 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
1. 패스트코멧 가입하기
호스팅 서비스를 받으려면 패스트코멧(Fastcomet) 사이트에 접속 및 가입을 하셔야 합니다. 가입은 무료이며 호스팅 서비스는 유료입니다.
2. 호스팅 서비스 선택하기
호스팅 서비스는 총 3가지가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표를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FastCloud Basic | FastCloud Plus | FastCloud Extra |
월 $2.19 | 월 $3.29 | 월 $4.39 |
단일 웹사이트 | 무제한 웹사이트 | 무제한 웹사이트 |
15GB SSD 공간 | 25GB SSD 공간 | 35GB SSD 공간 |
성능 향상 없음 | 2배 성능 향상 | 3배 성능 향상 |
초고속 캐시 없음 | 초고속 캐시 없음 | 초소속 캐시 있음 |
WP 최적화 없음 | WP 최적화 없음 | WP 최적화 있음 |
서비스에 따라 SSD 저장 공간이 다르며, 성능 향상 기능이 추가 및 초고속 캐시, WP 최적화 등의 서비스가 추가됩니다.
3. 도메인 입력하기
도메인을 만들었다면 [I already Have a domain] 버튼을 클릭하시고 주소를 입력하시면 됩니다. 만약 아직 도메인을 만들지 않았다면 워드프레스 도메인 만드는 방법 게시물을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4. 계정 정보 입력하기
이제 거의 완료했습니다. 호스팅 서비스에 가입하기 위해 계정 정보를 입력하시면 됩니다. 크롬 브라우저 사용자는 번역 기능을 사용하면 한국어로 보실 수 있습니다.
- First Name: 이름
- Last Name: 성
- Email: 이메일 주소
- Country: Korea
- State/Region: 주 지역(서울 등)
- Zip Code: 우편번호
- City: 지역(서울 등)
- Address: 도로명 영문 주소
- Phone: 연락처
- Company: 회사
주 지역은 서울, 부산 등 거주 지역을 영어로 표기하시면 됩니다. 연락처는 82를 붙여 입력하시면 됩니다. 회사는 공백으로 두셔도 상관없습니다.
5. 호스팅 서비스 및 서버 선택하기
메인 화면에서 선택했던 호스팅 서비스를 변경할 수 있습니다. 또한 서버를 선택할 수 있는데 패스트코멧은 서울 서버가 없으므로 [Tokyo, JP, Asia]로 선택해 주시면 됩니다.
6. 엑스트라 서비스 가입 여부 선택하기
엑스트라 서비스는 검색 엔진 제출, 검색 엔진 최적화(SEO) 팁, 구글 사이트맵 제출 서비스입니다. 하지만 테크 트렌드를 구독하시거나 블로그 게시물을 참고하시면 검색 엔진 및 구글 사이트맵 제출 방법에 대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7. 호스팅 서비스 결제하기
신용카드 번호 및 CVV를 입력하시고 [CHECKOUT] 버튼을 클릭하시면 결제됩니다. 최종 결제 금액을 꼭 확인하시고 체크아웃을 클릭하시길 바랍니다.
워드프레스 호스팅 설치 방법
호스팅 서비스를 시작했다면 이제 CPanel에서 워드프레스 호스팅을 설치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이메일 확인하기
패스트코멧 서비스에 가입할 때 입력한 이메일로 들어갑니다. 그리고 새로 도착한 [Welcome to FastComet] 메일을 확인합니다.
2. CPanel 로그인하기
메일에 적혀있는 CPanel 사이트에 접속합니다. 그리고 사용자 이름(Username)과 암호(Password)를 입력하여 [로그인]을 클릭합니다.
3. Lets Encrypt SSL
Cpanel 메뉴 중에서 [Security] – [Lets Encrypt SSL]을 클릭합니다. 이는 보안 인증서를 설치하는 단계이므로 필수로 설치하셔야 합니다.
4. 도메인 선택하기
보안인증서를 설치할 도메인을 선택합니다. 그리고 [Issue a new certificate] – [Actions] 밑에 Issue를 클릭하여 설치 사이트로 이동합니다.
5. 보안 인증서 설치하기
설정을 변경하지 않고 [Issue]를 클릭하여 설치합니다.
6. 에러가 발생했을 때 대처 방법
보안 인증서를 설치하는 과정에서 에러가 발생하면 패스트코멧 상담원에게 실시간 채팅을 걸어 해결할 수 있습니다. 패스트코멧은 24시간 상담원이 대기하고 있어 빠르게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7. Softaculous Apps Installer
이제 보안 인증서를 설치했으니 워드프레스를 설치해보겠습니다. [Software] – [Softaculous Apps Installer]를 클릭합니다.
8. 워드프레스 설치하기
설치할 수 있는 앱 목록이 나옵니다. WordPress를 선택 후 [Install]을 클릭합니다.
9. In Directory 공백으로 만들기
In Directory 부분에 입력되어 있는 문자를 삭제합니다.
10. 사이트 이름 및 설명 입력하기
자신의 워드프레스 타이틀과 디스크립션을 입력합니다. 검색 결과에 노출될 워드프레스 제목과 설명입니다. 이후 변경할 수 있습니다.
11. 사용자 이름 및 암호 설정하기
워드프레스에 로그인할 ID와 패스워드를 설정합니다. 보안을 위해 패스워드에 대문자,특수문자를 포함시키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12. 사용자 언어 설정하기
워드프레스 언어를 선택합니다. 한국어로 하려면 [Korean]을 선택하시면 됩니다.
13. 워드프레스 호스팅 설치 마치기
이제 모든 과정이 끝났습니다. 조금만 기다리면 정상적으로 워드프레스 호스팅이 설치됩니다. 만약 설치하는 과정에서 막히는 구간이 생긴다면 댓글 남겨주세요! 빠르게 답변해드리겠습니다. 또한 패스트코멧 상담원에게 채팅으로 요청하면 워드프레스 설치를 도와줍니다.
저도 보안에서 오류떴는데 해결했어요! 감사합니다 🙂
패스트코멧 상담원 어디서 연결할수있나요